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140)
제5도살장 / 17.04.08 - 17.04.14 p.43모든 순간,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순간은 늘 존재해왔고, 앞으로도 늘 존재할 것이다.p.44트랄파머도어인은 주검을 볼 때 그냥 죽은 사람이 그 특정한 순간에 나쁜 상태에 처했으며, 그 사람이 다른 많은 순간에는 괜찮다고 생각한다. p.157모든 것이 아름다웠고, 어떤 것도 아프지 않았다. p.204사실 전쟁의 주된 영향 가운데 하나는 사람들이 등장인물이 되는 것을 포기한다는 점이다.
빅 픽쳐 / 더글라스 케네디 / 17.03.23 - 17.04.03 p.117누구나 인생의 비상을 갈망한다. 그러면서도 스스로를 가족이라는 덫에 더 깊이 파묻고 산다. 가볍게 여행하기를 꿈꾸면서도, 무거운 짐을 지고 한 곳에 머무를 수밖에 없을 만큼 많은 걸 축적하고 산다. 다른 사람 탓이 아니다. 순전히 자기 탓이다. 누구나 탈출을 바라지만 의무를 저버리지 못한다. p.213정말 한 순간에 모든 걸 빼앗길 수 있는 게 삶이야. 우리 모두는 그런 순간이 언젠가 다가오겠지 두려워하며 살아가고 있는 거야. p.278여행에는 언제나 논리적인 구조가 있다. 모든 여행은 출발하고 돌아온다. 그러나 내 여행은 콘크리트 도로를 끝없이 따라갈 뿐이었다. 도착지는 그 어디에도 없었다.
현대 물리학과 동양사상 / 프리초프 카프라 / 17.02.23 - 17.03.19 p.15광대한 우주의 공간 속에 티끌처럼 떠도는 지구의 표면에서 엉겁의 일순을 살다가는 우리의 존재의 의미는 무엇이냐. p.41~42동양의 신비론에 있어서는 감각에 비치는 모든 사물과 사건은 상호 관련되고 연결되어 있으며 다 같은 궁극적인 실재의 다른 양상 내지 현시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 동양의 세계관은 본질적으로 역동적이며 시간과 변화를 본래부터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p.63동양적 신비주의는 실재의 본질 속으로 꿰뚫고 들어가는 직접적인 직관 위에 기초하고 있고, 물리학은 과학적 실험을 통한 자연 현상의 관찰에 기반을 두고 있다. 양쪽 다 그 관찰은 해석되고 이 해석은 자주 언어에 의해 소통된다. p.76우리가 보거나 듣는 것은 결코 탐구된 현상 그 자체가 아니라 언제나 그러한 과정의 결과인 ..
밤으로의 긴 여로 / 유진 오닐 / 17.02.17 - 17.02.21 p.101과거는 바로 현재에요, 안 그래요? 미래이기도 하고. 우리는 그게 아니라고 하면서 애써 빠져나가려고 하지만 인생은 그걸 용납하지 않죠.
자유론 / 존 스튜어트 밀 / 17.01.30 - 17.02.05 p.32인간 사회에서 누구든 - 개인이든 집단이든 - 다른 사람의 행동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는 경우는 오직 단 한 가지, 자기 보호를 위해 필요할 때뿐이다. p.51다른 사람의 생각과 자신의 생각을 비교하고 대조하면서 틀린 것은 고치고 부족한 것은 보충하는 일은 의심쩍어하거나 주저하지 말고 오히려 이를 습관하하는 것이 우리의 판단에 대한 믿음을 튼튼하게 해주는 유일한 방법이다. p.72단지 생각하는 것이 귀찮아서 기존의 올바른 의견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그 덕분에 실수를 피할 수 있는 사람보다는, 적절한 공부와 준비 끝에 자기 혼자 생각하다가 실수를 저지르는 사람이 진리의 발견에 더 크게 기여한다. p.90적극적으로 논쟁을 벌이는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면, 그 어떤 주제에 관한 의견도 지식다운 지식이 될 ..
그리스인 조르바 / 니코스 카잔차키스 / 17.01.10 - 17.01.28 p.93우리의 낡은 세계는 구체적이고 견고하다. 우리는 그 세계를 살며 순간순간 그 세계와 싸운다. 실재하는 세계다. 미래의 세계는 아직 태어나지 않았다. 그것은 환상적이고 유동적이며 꿈을 빚는 재료인 빛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p.98행복을 체험하는 동안에 그것을 의식하기란 쉽지 않다. 오직 행복한 순간이 과거로 지나가고 그것을 되돌아볼 때에만 우리는 갑자기 - 이따금 놀라면서 - 그 순간이 얼마나 행복했던가를 깨닫는다. p.424인간이라는 불운한 존재는 작고 초라한 자신의 삶 둘레에 난공불락이라고 믿는 방벽을 쌓아 올린다. 그 안을 피난처로 삼아, 삶에 미미한 질서와 안정을 부여하려 애쓴다. 미미한 행복을 말이다.
세계미래보고서 2050 / 제롬 글렌 / 16.12.29 - 17.01.05 p.62세계는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기술적으로 점점 더 연결되어 가고 있지만 국가에 기반을 둔 낡은 통치 구조는 새롭게 대두되는 도전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p.216만물인터넷은 각종 장비와 가구, 가전 등 모든 것을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우리의 상상을 초월해 미래 경제의 한계를 확대하며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이를 잘 활용하는 기업이 미래의 주역이 될 것이며, 개인에게는 더 나은 의사결정을 하도록 도와줄 것이다.
템테이션 / 더글라스 케네디 / 16.12.27 - 16.12.29 p.451우리는 위기를 통해 믿게 된다. 자신이 중요한 존재라는 걸 믿게 되고, 자신이 하찮은 존재에서 벗어나 더 나은 존재가 될 수 있다고 믿게 된다. 무엇보다 우리는 위기를 통해 깨닫게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