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27) 썸네일형 리스트형 시계태엽 오렌지 / 앤서니 버지스 / 16.06.26 - 16.06.28 p.114신은 선 그 자체와 선을 선택하는 것 중에서 어떤 것을 원하시는 걸까? 어떤 의미에서는 악을 선택하는 사람이 강요된 선을 받아들여야 하는 사람보다는 낫지 않을까? 과학혁명의 구조 / 토마스 쿤 / 16.05.22 - 16.06.24 p.62과학의 발전은 과학적 테크닉과 지식을 이루면서 날로 쌓여가는 자료 더미에, 하나씩 또는 여러 개씩 이들 항목이 덧붙여지면서 차츰차츰 진행되는 과정이 된다. p.73'정상 과학'은 과거에 있었던 하나 이상의 과학적 성취에 확고히 기반을 둔 연구 활동을 뜻하는데, 여기서의 성취는 더 나아간 실천의 토대를 제공하는 것으로 특정 과학자 공동체가 한동안 인정한 것을 말한다. p.74'패러다임'이라는 용어를 선택함으로써, 나는 법칙, 이론, 응용, 도구의 조작 등을 모두 포함한 실제 과학 활동의 몇몇 인정된 실례들이, 과학 연구의 특정한 정합적 전통을 형성하는 모델을 제공한다는 점을 시사하고자 한다. p.74공유된 패러다임에 근거하여 연구하는 사람들은 과학 활동에 대한 동일한 규칙과 표준에 헌신하게 된다. .. 맨드라미의 빨강 버드나무의 초록 / 에쿠니 가오리 / 16.05.09 - 16.05.14 p.69폭죽은 잔뜩 있고, 밤은 끝없이 길었다. 나는 이렇듯 셋이서 불꽃놀이를 하는 빛나는 여름밤이 더없이 소중하게 느껴졌다. 방해물로 여겼던 가로등의 휘황함도, 그 주변에 있는 미세한 벌레조차도 너무나 소중하게 다가왔다. p.91해질녘이라는 애매한 시간이 나는 좋다. 주부가 장보러 가는 시간, 아이들이 골목에서 뛰노는 시간, 장밋빛과 회색빛과 연푸른빛이 한데 섞인 듯한 공기, 무논에선 금빛으로 물들기 시작한 벼 이삭이 사각사각 건조한 소리를 내고 있다. p.241인생은 즐기기 위해 있는 것이고, 상대가 남자든 여자든 보고싶을 때 봐야 하고, 그때가 아니면 갈 수 없는 장소, 그때가 아니면 볼 수 없는 것, 마실 수 없는 술, 일어나지 않는 일이란 게 있다. p.267화창한 날이다. 해질녘, 오늘의 마지.. 88만원 세대 / 우석훈 / 16.03.25 - 16.04.03 p.51우리아날의 정치 지도자들은 지금의 상황이 당연하고, '좋은 대학'에 '좋은 사람'이 가는 것이 '좋은 일'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 즉, 형평성에는 별 관심이 없다, p.61자본주의는 우리 스스로 발전시킨 방식이 아니다 보니 그 안에서 주요 논점이 되지 못했던 사안들이나 중앙정부가 아닌 지역사회 차원에서 다루어졌던 여러 가지 갈등과 문제점들에 대해서 아직은 익숙하지 않은 것이다. p.177대학 국유화를 쟁취한 뒤 다음 단계로 진화했던 프랑스의 68세대와는달리 우리의 386은 대학 개혁에 대해 거의 아무런 청사진이나 의미있는 노력을 개진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학벌 사회를 더욱 강화시키는, 일종의 역사에 대한 배신을 행한 세대이다. p.273.한국 경제는 너무 짧은 시간 동안에 급성장해서 어.. 사피엔스 / 유발 하라리 / 16.03.02 - 16.03.19 p.44인지 혁명이란 약 7만년 전부터 3만년 전 사이에 출현한 새로운 사고방식과 의사소통 방식을 말한다. ... 가장 많은 사람들이 믿는 이론은 우연히 일어난 유전자 돌연변이가 사피엔스 뇌의 내부 배선을 바꿨다는 것이다. 그 덕분에 전에 없던 방식으로 생각할 수 있게 되었으며 완전히 새로운 유형의 언어를 사용해서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p.60인지 혁명 이후, 사피엔스는 이중의 실재 속에서 살게 되었다. 한쪽에는 강, 나무, 사라지는 객관적 실재가 있다. 다른 한쪽에는 신, 국가, 법인이라는 가상의 실재가 존재한다. p.153역사란 다른 모든 사람이 땅을 갈고 물을 운반하는 동안 극소수의 사람이 해온 무엇이다. p.166우리가 특정한 질서를 신회하는 것은 그것이 객관적으로 진리이기 때.. [논문 리뷰] 3D Gaussian Splatting for Real-Time Radiance Field Rendering 이번 포스팅에선 Novel-view synthesis task에서 획기적 방법을 제시한 3D Gaussian Splatting (3DGS) 에 대해 리뷰하겠습니다.3D Scene Reconstruction 3D Scene Reconstruction은 여러 각도에서 촬영한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장면의 3D 구조를 재구성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장면의 깊이, 기하학적 관계, 표면 구조 등을 포함한 3D 모델을 생성하여 컴퓨터가 더 잘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3D 모델링, SLAM, AR & VR, 자율주행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D Scene Reconstruction은 딥러닝 등장 이전부터 연구되어 온 분야입니다. 초기에는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을 활.. [논문 리뷰] Descanning: From Scanned to the Original Images with a Color Correction Diffusion Model 이번 게시물에선 제가 석사과정 동안 진행했던 "Descanning" 연구에 대해 소개합니다.해당 연구는 AAAI 2024에 채택되었으며, 현재 이를 확장하여 저널 제출을 준비 중입니다. 이 논문은 약 1년 반 동안 실험, 분석, 작성의 과정을 거쳤습니다. 그 과정에서 논문 내용이 대대적으로 수정되기도 하고, 수차례 밤샘 작업, 그리고 3번의 Reject을 겪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끝내 AAAI 2024 게재라는 결실을 맺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현재 소스 코드는 깃허브에 정리되어 있으며, 데이터셋과 모델 가중치 파일은 저널 게재가 승인된 이후 공개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깃허브: https://github.com/jhcha08/DescanningAbstract많은 양의 아날로그.. PyTorch에서 torch.nn.Module 클래스와 모델 구현의 개념 PyTorch는 딥러닝 모델을 구축하고 훈련하는 데 매우 유용한 라이브러리입니다. 그 핵심에는 torch.nn.Module 클래스가 있으며, 이는 모델을 정의하고 훈련하는 데 필요한 많은 기능들을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torch.nn.Module 클래스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이를 어떻게 확장하여 사용자 정의 모델을 만드는지, 또한 __init__()와 forward() 메서드를 어떻게 오버라이드하여 모델을 정의하는지에 대해 다룹니다. 그뿐만 아니라, 모델을 호출할 때 model(input_data)가 어떻게 동작하는지도 설명합니다.1. torch.nn.Module 클래스의 개요torch.nn.Module은 PyTorch에서 모델을 정의할 때 기본이 되는 클래스입니다. 이 클래스를 상속받아 신경망 모.. 이전 1 2 3 4 ··· 16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