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36) 썸네일형 리스트형 시계태엽 오렌지 / 앤서니 버지스 / 16.06.26 - 16.06.28 p.114신은 선 그 자체와 선을 선택하는 것 중에서 어떤 것을 원하시는 걸까? 어떤 의미에서는 악을 선택하는 사람이 강요된 선을 받아들여야 하는 사람보다는 낫지 않을까? 과학혁명의 구조 / 토마스 쿤 / 16.05.22 - 16.06.24 p.62과학의 발전은 과학적 테크닉과 지식을 이루면서 날로 쌓여가는 자료 더미에, 하나씩 또는 여러 개씩 이들 항목이 덧붙여지면서 차츰차츰 진행되는 과정이 된다. p.73'정상 과학'은 과거에 있었던 하나 이상의 과학적 성취에 확고히 기반을 둔 연구 활동을 뜻하는데, 여기서의 성취는 더 나아간 실천의 토대를 제공하는 것으로 특정 과학자 공동체가 한동안 인정한 것을 말한다. p.74'패러다임'이라는 용어를 선택함으로써, 나는 법칙, 이론, 응용, 도구의 조작 등을 모두 포함한 실제 과학 활동의 몇몇 인정된 실례들이, 과학 연구의 특정한 정합적 전통을 형성하는 모델을 제공한다는 점을 시사하고자 한다. p.74공유된 패러다임에 근거하여 연구하는 사람들은 과학 활동에 대한 동일한 규칙과 표준에 헌신하게 된다. .. 맨드라미의 빨강 버드나무의 초록 / 에쿠니 가오리 / 16.05.09 - 16.05.14 p.69폭죽은 잔뜩 있고, 밤은 끝없이 길었다. 나는 이렇듯 셋이서 불꽃놀이를 하는 빛나는 여름밤이 더없이 소중하게 느껴졌다. 방해물로 여겼던 가로등의 휘황함도, 그 주변에 있는 미세한 벌레조차도 너무나 소중하게 다가왔다. p.91해질녘이라는 애매한 시간이 나는 좋다. 주부가 장보러 가는 시간, 아이들이 골목에서 뛰노는 시간, 장밋빛과 회색빛과 연푸른빛이 한데 섞인 듯한 공기, 무논에선 금빛으로 물들기 시작한 벼 이삭이 사각사각 건조한 소리를 내고 있다. p.241인생은 즐기기 위해 있는 것이고, 상대가 남자든 여자든 보고싶을 때 봐야 하고, 그때가 아니면 갈 수 없는 장소, 그때가 아니면 볼 수 없는 것, 마실 수 없는 술, 일어나지 않는 일이란 게 있다. p.267화창한 날이다. 해질녘, 오늘의 마지.. 88만원 세대 / 우석훈 / 16.03.25 - 16.04.03 p.51우리아날의 정치 지도자들은 지금의 상황이 당연하고, '좋은 대학'에 '좋은 사람'이 가는 것이 '좋은 일'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 즉, 형평성에는 별 관심이 없다, p.61자본주의는 우리 스스로 발전시킨 방식이 아니다 보니 그 안에서 주요 논점이 되지 못했던 사안들이나 중앙정부가 아닌 지역사회 차원에서 다루어졌던 여러 가지 갈등과 문제점들에 대해서 아직은 익숙하지 않은 것이다. p.177대학 국유화를 쟁취한 뒤 다음 단계로 진화했던 프랑스의 68세대와는달리 우리의 386은 대학 개혁에 대해 거의 아무런 청사진이나 의미있는 노력을 개진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학벌 사회를 더욱 강화시키는, 일종의 역사에 대한 배신을 행한 세대이다. p.273.한국 경제는 너무 짧은 시간 동안에 급성장해서 어.. 사피엔스 / 유발 하라리 / 16.03.02 - 16.03.19 p.44인지 혁명이란 약 7만년 전부터 3만년 전 사이에 출현한 새로운 사고방식과 의사소통 방식을 말한다. ... 가장 많은 사람들이 믿는 이론은 우연히 일어난 유전자 돌연변이가 사피엔스 뇌의 내부 배선을 바꿨다는 것이다. 그 덕분에 전에 없던 방식으로 생각할 수 있게 되었으며 완전히 새로운 유형의 언어를 사용해서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p.60인지 혁명 이후, 사피엔스는 이중의 실재 속에서 살게 되었다. 한쪽에는 강, 나무, 사라지는 객관적 실재가 있다. 다른 한쪽에는 신, 국가, 법인이라는 가상의 실재가 존재한다. p.153역사란 다른 모든 사람이 땅을 갈고 물을 운반하는 동안 극소수의 사람이 해온 무엇이다. p.166우리가 특정한 질서를 신회하는 것은 그것이 객관적으로 진리이기 때.. 허수아비춤 / 조정래 / 16.02.23 - 16.03.01 p.235지식인으로서 현실의 부당함과 역사의 처절함에 대해 이성적 분노와 논리적 증오를 가슴에 품고 있지 않다면 그건 지식인일 수 없다. 정신분석 입문 / 지그문트 프로이트 / 16.02.18 - 16.02.20 p.40말실수도 스스로 목적을 갖고 그것을 이루고자 하는, 그 자체가 완전히 유효한 심리적 행위로서, 내용과 의미를 지닌 행동 표현으로 볼 수 있습니다. p.53반복되는 실수 행위는 어떤 집요함을 드러내는 것으로, 그 집요함을 추적해보면 결코 우연이라고는 할 수 없으나 의도에는 잘 부합한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즉, 여러 가지 방법으로 도달하고자 했던 의도가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p.80꿈은 단순히 자극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가공하고 암시하며, 일련의 관계 속에 배치시키고, 다른 것으로 바꾸기도 합니다. 이것이 꿈 활동의 한 단면이라 할 수 있는데, 이를 연구함으로써 꿈의 본질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p.108소망이 꿈을 꾸게 만들며, 그 소망의 충족이 꿈의 주요한 특징입니다. p.117검열은 ..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 / 리사 랜들 / 16.02.08 - 16.02.15 p.8과학자들은 언제나 가능성 있는 아이디어를 포기하지 않고 탐구해가면서 동시에 그것이 정말로 옳은 것인지, 그 의미가 무엇인지 끊임없이 스스로에게 묻고 또 물으며 버텨야 한다. ... 과학자들의 목표는 지식의 경계를 넓히는 일이다. p.14연구란 그 본성상 우리가 아는 것의 최전선에 서는 일이다. p.19물리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보다 깊어지고 새로운 사고방식이 보다 넓게 퍼짐에 따라 우리의 언어와 생각 그 자체가 바뀌어 왔다. p.28물질과 우주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증가하면 할수록 우리의 존재는 풍요로워질 것이다. 미지의 것이 남아있다는 사실은 우리를 더욱더 뜨겁게 고무할 것이다. p.50근본적인 이론이 관측 가능한 스케일에 미치는 효과가 너무 작기 때문에 오늘날의 물리학이 그토록 어려.. 이전 1 2 3 4 5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