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106
우리들은 현상들을 통일적으로 질서 짓고, 또 몇몇 작은 개념들의 도움으로 굉장히 내용이 풍부한 집단 현상을 이해할 수 있게 될 때까지 그 현상을 어떠한 방식으로든지 간단한 것으로 소급시키려고 시도합니다. 이때 '이해'라는 것은 이같이 단순한 개념을 가지고 그 다양성을 파악한다는 것만을 뜻합니다.
p.116
과학의 진보는 그 종사자들에게 새로운 사고 내용을 받아들여서 그것을 구체화하는 것을 요구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p.126
이론이 비로소 사람들이 무엇을 볼 수 있는가를 결정한다.
p.161
자연은 이해될 수 있게끔 만들어져 있다.
p.130
이제 사람들이 원자 세계까지 내려간다면 공간과 시간 안에서의 그 같은 객관적인 세계는 전면 존재하지 않으며, 또한 이론 물리학의 수학적인 기호들은 실존적인 것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것만을 묘사한다는 사실이 주장될 수 있는 것이다.
p.155
우리에게는 뉴턴 역학의 개념 자체로는 도저히 꿰뚫을 수 없는 경험 영역이 존재합니다. 바로 이와 같은 새로운 경험 영역을 위해서는 새로운 개념 구조가 필요하며, 이 새로운 개념 구조를 상대성 이론이나 양자역학 등이 제공하고 있는 것입니다.
p.192
언어적 표현의 어려움에 대한 현대 물리학에서 끌어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가르침은 우리가 경험을 기술하는 데 사용하고 있는 모든 개념들은 다만 어떠한 적용 범위 밖에는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일 겁니다.
p.194
과학의 진보란 다만 단순히 우리들이 새로운 사실을 알고 그것을 이해하는 데 이해한다는 데 머무는 것이 아니라 '이해한다'라는 말이 무엇을 뜻하느냐 하는 것을 항상 거듭 새롭게 배워나감으로써 성취되는 것입니다.
p.202
자연과학이란 우리가 어떤 현상을 관찰하고, 거기서 얻은 결과를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하여 그것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데서 성립하는 것입니다.
p.322
양자 이론은 어떤 사실의 관련을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그것을 표현할 때에는 사상과 비유로서만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해주는 놀라운 예입니다.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팽이 / 최진영 / 15.09.26 - 15.09.27 (0) | 2024.07.26 |
---|---|
과학적 경험의 다양성 / 칼 세이건 / 15.09.13 - 15.09.25 (1) | 2024.07.23 |
고래 / 천명관 / 15.08.10 - 15.08.19 (0) | 2024.07.23 |
일론 머스크, 미래의 설계자 / 애슐리 반스 / 15.07.28 - 15.08.07 (1) | 2024.07.23 |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 / 무라카미 하루키 / 15.07.17 - 15.07.24 (0) | 2024.07.23 |